공무원한자어휘,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단골로 출제되는 나이를 나타내는 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립, 불혹, 상년, 망백, 화갑, 충년 등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한자 어휘이기도 한데요. 나이 한자 명칭 알아보겠습니다.
충년(沖年)
화할 충 · 빌 충 · 찌를 충, 해 년
10세 안밖의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어린 나이를 말합니다.
지학(志學)
뜻 지, 배울 학
15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학문에 뜻을 둔다'는 말입니다. 공자가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과년(瓜年)
오이 과, 해 년
16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결혼하기에 적당한 이른 여자의 나이를 말합니다. 여자가 월경을 처음 시작하는 열대여섯 살의 나이를 한자로 "파과기"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옛날에는 여자의 결혼 적령기를 16세로 보았으며 과년이라고 하였습니다.
약관(弱冠)
남자 나이 20세를 나타내는 말로 약년, 약령이라고도 합니다. 남자 20세가 되면 비로소 갓을 쓴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자가 20세에 관례를 한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방년(芳年) / 묘년(妙年)
꽃다울 방, 해 년
20세 전후 한창 꽃다운 여성의 나이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방령, 묘년, 묘령 모두 같은 뜻입니다.
이립(而立)
말이을 이, 설 립
30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마음이 확고하게 서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30세에 자립했다는데서 유래하였습니다.
이모(二毛)
두 이, 털 모
나이 32세를 나타내는 말로 흰 머리털이 나기 시작하는 나이를 말합니다. 같은 의미의 한자성어 이모지년(二毛之年)은 흰 머리카락이 두올이 나는 나이로 32세를 가리킵니다.
불혹(不惑)
아니 불 , 미혹할 혹
나이 40세를 나타내는 말로 세상일에 휘둘리지 않으며 판단력이 곧게 서는 나이를 말합니다. 공자가 나이 40부터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다는데서 유래하였습니다.
상년(桑年)
뽕나무 상, 해 년
나이 48세를 나타내는 말로 '桑'자를파자하면 '十十十十八'이 됩니다. '十' 십자가 네개 '八' 팔자가 하나로 말 그대로 48을 의미합니다.
지명(知命) / 지천명(知天命)
알 지 , 목숨 명
나이 50세를 나타내는 말로 공자가 나이 쉰에 하늘의 명을 알았다 것에서 유래합니다. '천명을 안다'는 것은 하늘의 뜻을 알아 순응할 줄 알고 순리에 깨달아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인의 경지에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애년(艾年)
쑥 애, 해 년
50세 나이를 나타네는 말로 머리털이 약쑥처럼 희어져 기력이 쇠해져 가는 나이를 말합니다.
장가(杖家)
지팡이 장, 집 가
50세 를 나타내는 말로 집안에 지팡이를 짚을 만한 나이로 장기지년이라고 합니다.
이순(耳順)
귀 이, 순할 순
60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귀가 순해진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60세부터 귀가 순해져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생각하는 것이 원만하여 어떤 일을 들으면 곧 객관적으로 이해가 된다고 한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화갑(華甲)
61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華'자를 파자하면 '十' 십자가 여섯 개 '一' 일이 하나 이므로 61세를 나타냅니다. 같은 말로 회갑, 환갑, 망칠, 환력, 주갑이 있습니다.
진갑(進甲)
나아갈 진, 갑옷 갑
환갑의 다음 해인 62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62세 생일을 진갑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1년을 더 나아간다는 뜻입니다. 환갑처럼 성대한 잔치는 아니더라도 간단한 음식을 차리고 손님들을 대접하기도 합니다.
종심(從心)
좇을 종, 마음 심
70세를 나타내는 말로 마음대로 한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70세가 되어 뜻대로 행하여도 도에 어긋남이 없었다는데서 유리합니다. 같은 말로 고희, 희수, 희년이 있습니다.
희수(喜壽)
기쁠 희, 목숨 수
77세 나이를 나타네는 말입니다. 장수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산수(傘壽)
우산 산, 목숨 수
80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구어로는 여든 살이라 하며 문어로는 팔순이라고 표현합니다.
망구(望九) / 망구순(望九旬)
바랄 망, 아홉 구
81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여든한 살을 말합니다. 망구는 81세가 되었으니 이제 아흔까지도 넉넉히 살수 있겠다는 만수무강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미수(米壽)
쌀 미 , 목숨 수
88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쌀 미(米)'를 파자하면 '팔(八)+팔(八)'이 되어 88이 됩니다. 미수는 일본식 조어 중 하나로 표현이 자제되고 있습니다.
졸수(卒壽)
마칠 졸, 목숨 수
90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구순 또는 아흔 살이라고 합니다.
망백(望百)
바랄 망, 백백
91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로 백세를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90세를 지났으니 이제 100세까지 바라본다는 만수무강의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백수(白壽)
흰 백, 목숨 수
99세 나이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백(白)'은 '일백백(百)'에서 '한 일(一)'을 뺀 것을 의미하며 숫자 99를 의미합니다.
상수(上壽)
위 상, 목숨 수
100세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장수를 축하하며 술잔을 위로 올리는 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한자 나이 나타내는 말을 나이순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공무원한자어휘,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나이에 맞는 어휘'를 묻거나 '나이순으로 정렬하시오' 같은 나이순 정렬 문제가 단골로 출제됩니다. 1점에 울고 웃는 중요한 시험에서 내 점수 잃지 않도록 한번 정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화뇌동 빈즉다사 함흥차사 일거양득 사자성어 뜻 알아봐요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사자성어 부화뇌동 附和雷同, 빈즉다사 빈즉다사, 함흥차사 咸興差使, 일거양득 一擧兩得 의 사자성어 뜻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부화뇌동 附和雷同 붙을 부, 응
specialdailylife.tistory.com
득롱망촉 등고자비 팽두이숙 본말전도 사자성어 뜻 알아봐요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사자성어 득롱망촉 得隴望蜀, 등고자비 登高自卑, 팽두이숙 팽두이숙, 본말전도 本末顚倒의 사자성어 뜻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득롱망촉 得隴望蜀 얻을 득, 땅
specialdailylife.tistory.com
권불십년 금의야행 차일피일 유유상종 사자성어 뜻 알아봐요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사자성어 권불십년 權不十年, 금의야행 錦衣夜行, 차일피일 此日彼日, 유유상종 類類相從의 사자성어 뜻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권불십년 權不十年 권세 권,
specialdailylif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