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리 물고기가 물을 다 흐린다","우물에 앉아 하늘을 본다.","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속담을 한자성어로 알아봐요
일어탁수 一魚濁水
한 일, 물고기 어, 흐릴 탁, 물 수
한 마리 물고기가 물을 다 흐린다는 속담입니다. 한 사람이 저지른 잘못 하나에 가족이나 사회가 곤경에 처할 때랄 말합니다. 요즘같이 감염병이 돌고 있는 시대에서 한 사람의 잘못으로 인해 집단감염으로 가는 일어탁수 현상을 자주 보고는 합니다. 일어탁수와 같은 말로는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다 시킨다'가 있습니다.
좌정관천 坐井觀天
앉을 좌, 우물 정, 볼 관, 하늘 천
우물에 앉아 하늘을 본다.라는 속담으로 우물 안에서만 사는 개구리가 하늘을 관찰한다면 보이는 크기가 전부겠지요? 즉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 세상 밖 이치와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좌정관천과 같은 의미로 정중지와가 있습니다.
좌정관천은 장자에 나오는 문구 '정와불가이어해(井蛙不可以語海)'에서 기원한 속담입니다. 황하의 신 하백(河伯)이 자신이 다르리는 황하가 물이 불어 끝없이 펼쳐지는 것을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바다를 보게 되고 깜짝 놀랍니다. 자신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는데 바다가 더 컸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보고 바다를 지키는 신인 약(若)이 하백에게 세 가지 충고를 합니다.
첫째, 우물 속에 있는 개구리에게는 바다를 설명할수가 없다. 그 개구리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한여름에만 사는 여름 곤충에게 얼을을 설명할 수가 없다. 그 곤충은 자신이 사는 여름이라는 시간만 알기 때문이다.
셋째,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 줄 수 없다. 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 전부라도 생각하기 때문이다.
안중지정 眼中之釘
눈 안, 가운데 중, 조사 지, 못 정
눈안에 가시다 (눈엣가시)라는 속담입니다. 몹시 밉거나 싫어서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을 말합니다. 사사건건 참견하는 사람이거나 현재 일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를 말합니다.
정신일도 하사불성 갈이천정 정중지와 속담 한자성어 알아봐요
정신일도 하사불성 갈이천정 정중지와 속담 한자성어 알아봐요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목마른 사람이 우물판다" "우물 안 개구리" 우리나라 속담 한자성어로 알아보겠습니다. 정신일도 하사불성 精神一到 何事不成 면밀할 정, 귀신 귀,
specialdailylife.tistory.com
이현령비현령 십벌지목 상탁하부정 속담 한자성어 알아봐요
이현령비현령 십벌지목 상탁하부정 속담 한자성어 알아봐요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자주 접하는 속담 한자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십벌지목 十
specialdailylife.tistory.com
계구우후 구우일모 뜻과 유래 알아봐요
계구우후 鷄口牛後, 구우일모 九牛一毛 소가 들어가는 사자성어 뜻 알아봐요. 계구우후 鷄口牛後 닭 계, 입 구, 소 우, 뒤 후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즉, 큰 단체의 꼴
specialdailylife.tistory.com
견문발검 見蚊拔劍 할계언용우도 뜻 의미 알아봐요
견문발검 見蚊拔劍 할계언용우도 割鷄焉用牛刀 위의 고사성어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사소한 일에 과잉 대응하는 행동에 관한 교훈 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견문
specialdailylife.tistory.com